티스토리 뷰
목차
요즘 직장도 불안정한데 월세까지 감당하자니 한숨만 나왔습니다. 방세 내고 나면 생활비는 바닥이고, 통장 잔고는 늘 마이너스였거든요. 그런데 다행히도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 덕분에 최대480만원(매달 20만 원)까지 24개월지원받을 수 있게 됐어요.
최대 24개월 동안 월세를 나눠서 지원해준다고 하니 진짜 숨통이 트이더라고요. 저처럼 월세 부담에 지친 청년이라면 이 혜택, 절대 놓치지 마세요.
✅ 지원 대상 – 누가 받을 수 있나요?
✔ 만 19세~34세의 무주택 청년
✔ 부모님과 따로 사는 ‘독립거주자’
✔ 본인과 부모의 소득 및 재산 기준을 충족해야 해요.
※ 단, 아래에 해당하면 ‘부모 소득’은 보지 않습니다
30세 이상
혼인 또는 이혼한 경우
미혼부·모
30세 미만이지만 생계를 달리한다고 시·군·구청장이 인정한 경우
이런 경우는 제외돼요
❌ 주택을 소유한 청년 (분양권·입주권 포함)
❌ 부모나 형제 자매 집에 세 들어 사는 경우
❌ 공공임대주택(공무원 사택 등) 거주자
❌ 여러 명이 1실에 전대거주하는 경우 (※ 단, 개별 계약이면 가능)
❌ 이미 월세 지원 받고 있는 경우 (지원 종료 후 신청 가능)
💰 얼마까지 받을 수 있나요?
✔ 월 최대 20만 원 지원
✔ 지원 방식: 현금 지급 (계좌로 지급)
✔ 최대 24개월간 지원, 상황에 따라 중단될 수 있어요.
월세가 25만 원이라면?
→ 20만 원까지 정부가 지원, 나머지 5만 원만 본인이 부담!
📊 소득·재산 기준은 어떻게 되나요?
📌 청년가구 기준
- 소득: 중위소득 60% 이하
- 재산: 총 1.22억 원 이하 (부채 차감 기준)
📌 원가구(부모) 기준
- 소득: 중위소득 100% 이하
- 재산: 총 4.7억 원 이하
※ 원가구 소득은 일부 조건 충족 시 미반영 가능 (30세 이상 등)
소득에는 근로·사업소득, 이자, 임대소득, 실업급여 등이 포함되고,
재산에는 보증금, 건물, 자동차, 토지, 회원권 등이 포함됩니다.
단, 보증금 마련을 위한 부채는 재산에서 차감 가능!
📝 신청은 어떻게 하나요?
아래 절차를 따라 신청하세요:
- 복지로(www.bokjiro.go.kr) 또는 거주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서 신청
- 본인 명의 통장과 임대차계약서, 소득 증빙서류 등 제출
- 온라인 신청 시 공동인증서 필요
- 결과 통보 후, 매월 월세 지원금 계좌 입금
https://drive.google.com/file/d/1psK5rViS9_z54Nw4rtoXCvMEr4VUu3Dc/view?pli=1
2025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(2차)_신청서류 리스트, 서식 총정리_자취생희수.pdf
drive.google.com
📞 문의처: ☎ 1600-0777 (복지로 통합 콜센터)
💡청년월세 지원 꿀팁
- 중위소득 확인 먼저 하기: 가족 소득이 기준을 넘는 경우, 신청 자체가 어려울 수 있어요.
- 부모와 생계 분리 조건 확인: 30세 미만 청년도 생계 분리 인정받으면 부모 소득 무시 가능!
- 임대차계약서 명의는 반드시 본인으로!
- 다른 월세 지원 사업 중복 수혜 불가: 타 지역 또는 지자체 월세 지원 받고 있다면 중복 불가예요.
🔍이런 분들에게 꼭 필요해요!
- 대학 졸업 후 첫 직장을 다니며 원룸 생활 중인 20대 후반 청년
- 부모님과 따로 거주 중인 30대 초반 직장인
- 계약금과 보증금도 벅찬데 월세까지 부담인 사회초년생
📌 요약 정리
대상 | 만 19~34세 무주택 독립 청년 |
기준 | 본인 소득 중위소득 60% 이하 + 부모 중위소득 100% 이하 |
금액 | 월 최대 20만 원 (최대 12개월) |
신청 | 복지로 또는 읍면동 주민센터 |
문의 | ☎ 1600-0777 |
이 지원 덕분에 매달 월세로 빠져나가던 부담을 줄이고,
청년들이 더 안정적인 삶을 설계할 수 있게 되길 바랍니다.
주변에 월세로 힘들어하는 친구나 동생, 자녀가 있다면 꼭 알려주세요!